[1] 분석 기획의 특징
1. 분석 기획이란
1) 실제 분석을 수행하기에 앞서, 분석을 수행할 과제의 정의 및 의도했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이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안으르 사전에 계획하는 작업
2) 분석과제 및 프로젝트를 직접 수행하는 것은 아님
3) 수학/통계학적 지식, 정보기술(IT기술, 해킹기술, 통신기술 등), 해당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 필요
2. 분석의 유형
|
분석의 대상 (What) |
||
분석의 방법 (How) |
Known |
Un-Known |
|
Known |
Optimization (최적화) |
Insight (통찰) |
|
Un-Known |
Solution (솔루션) |
Discovery (발견) |
1) Optimization (최적화) : 분석 대상 및 분석 방법을 이해하고, 현 문제를 최적화 된 형태로 수행
2) Solution (솔루션) : 분석 대상은 알고 있고, 분석 방법은 알지 못하는 경우 솔루션을 찾는 방식으로 분석과제 수행
3) Insight (통찰) : 분석 대상은 불분명하고, 분석 방법은 알고 있는 경우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수행
4) Discovery (발견) : 분석 대상과 분석 방법을 모를 경우, 발견을 통해 분석 대상 자체를 새로이 도출
3. 목표시점 별 분석 기획 방안
1) 과제 중심적인 접근방식 : 당면한 과제를 빠르게 해결
2) 장기적인 마스터 플랜 방식 : 지속적인 분석 내재화
* 융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중요
3) 분석가는 3가지 기본역량 + 프로젝트 관리 역량, 리더십 역량 등 필요
Speed & Test | <- 1차 목표 -> | Accuracy & Deploy |
Quick & Win |
<- 과제의 유형 -> |
Long Term View |
Problem Solving |
<- 접근 방식 -> |
Problem Definition |
[2] 분석 기획 시 고려사항
1. 데이터에 대한 고려
1) 분석을 위한 데이터의 확보 우선적
2)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적용 가능한 솔루션 및 분석 방법이 다르므로 유형에 대한 분석 선행으로 이루어져야 함
3) 정형데이터 (DB로 정제된 데이터), 비정형 데이터 (이메일, 보고서, 소셜미디어 데이터), 반정형 데이터 (센서 중심으로 스트리밍되는 머신데이터)
2. 적절한 활용방안과 활용 가능한 유즈케이스 탐색 필요
1) 기존에 잘 구현되어 활용되고 있는 유사 분석 시나리오 및 솔루션을 최대한 활용
3. 장애요소들에 대한 사전 계획 수립
1) 일회성 분석으로 그치면 안됨
2) 조직의 역량으로 내재화하기 위해 계속적인 교육 및 활용방안 등의 변화 관리가 고려되어야 함
'기획자입니다 > 데이터 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DsP 자격증 - 분석 방법론 (KDD, CRISP-DM, 빅데이터 분석) (1) | 2019.02.19 |
---|---|
ADsP 자격증 - 기타/최신 빅데이터 용어 정리 (0) | 2019.02.13 |
ADsP 자격증 - R studio (기본함수, 데이터프레임, csv) (0) | 2019.02.09 |
ADsP 자격증 - 데이터와 정보 (문제풀이 빈칸 자체 테스트) (0) | 2019.01.23 |
ADsP 자격증 - 데이터와 정보 (요약) (0) | 2019.01.23 |